투자 인사이트

워런 버핏의 저렴한 주식 찾는 방법 (당신은 차트에 속고 있다)

경제 블로거 마이크 2023. 9. 9. 18:31
반응형

캔들차트

주식 구매 관점

A사의 주식 가격이 10000원이고 발행 주식수가 10만 개로 자산가치는 10억 원이다.  배당을 매년 10% 수준이다. 이번연도는 가격이 떨어지고 있어 작년 대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

B사의 주식 가격은 20000원이고 발행 주식수가 10만 개로 자산가치가 20억이다. 배당은 1% 미만 수준이다. 이번연도는 주식 가격이 올랐고 작년보다 오른 가격에 구매해야 한다.

 

당신은 어떤 주식을 구매할 것인가? 당연히 가격만을 본다면 비싸진 B사 주식보다 저렴한 주식 A사 주식을 선택할 것이다. 그러면 내가 주식을 사는 것이 아니라 가게를 인수한다고 생각해 보자. 당신은 좀 더 많은 정보를 파악하려고 할 것이다. 

가게 인수 관점

저렴하게 나온 가게 A가 있다. 현재 순이익은 1억이다. 10억에 가게를 구매할 수 있다. 직접 가서 확인해 보니 가게 종업원들은 5년 동안 새로운 제품을 팔지 않았고 인테리어도 구식이다. 

비싸게 나온 가게 B가 있다. 현재 순이익은 A와 마찬가지로 1억이다. 가격은 20억으로 A 가게의 두배의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다. 종업원들은 매년 신제품을 출시하여 가격을 올렸고 인테리어도 최신식이다.

 

내가 10억을 가지고 A 가게를 인수했다고 가정해보자. 경쟁업체 대비 10억 저렴하게 구매했기 때문에 대출이 없다. 이번 연도에 순이익은 9천만 원으로 전년도 대비 1천만 원 줄었다. 가게의 가치는 9억으로 줄어들었다. 나는 가게 가치 하락분 1억 원에 9천만 원 순이익으로 총 1천만 원의 이익을 보았다. 2년 뒤에는 적자가 예상된다.

 

다시 B 가게를 인수한다고 생각해보자. 년 10% 이자로 10억을 대출하였다. 이번 연도 순이익이 1억 1천만 원으로 천만원 올랐다. 가계의 가치는 22억으로 올랐다. 순이익과 대출 이자 1억 가게 가치 상승분 2억으로 총 2억 1천만 원의 이익을 보았다.

 

워런 버핏의 투자 관점에서 저렴한 기업은 B 가게를 의미한다. 저렴한 기업이란 가격이 저렴한 기업이 아니라 가치 대비 저렴한 기업을 의미한다. 첫 번째 예시와 같이 가격을(차트) 아무리 들여다봐도 기업의 가치를 알 수 없다. 현재의 가격이 미래의 가격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 기업이 저렴하다고 단순 투자를 해서는 안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