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별 매출 비중
사업 부문 | 매출 비중(%) |
LG에너지솔루션 | 60.20% |
석유화학 사업부문 | 30.50% |
첨단소재 사업부문 | 5.40% |
생명과학 사업부문 | 1.80% |
공통 및 기타부문 | 2.10% |
엘지화학은 2개의 자화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엘지 에너지 솔루션과 팜한농입니다. 5% 미만의 사업을 제외하고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LG 에너지 솔루션 배터리 사업, 첨단 소재 및 석유 화학 사업 부문입니다. 배터리 부문은 에너지솔류션인 자회사로 분리되었으므로 첨단 소재 부문의 매출이 중요합니다. LG화학은 2023년 기준 연간 12만 톤의 양극재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8년까지 양극재 생산 능력을 47만 톤으로 확대하기 위해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역 별 매출
지역 | 매출(억원) | 비중(%) |
국내 | 26400 | 7.50% |
중국 | 103400 | 27.10% |
미국 | 60000 | 17.80% |
기타 | 63200 | 17.60% |
중국 매출이 27%로 가장 큰 매출을 차지하고 그 다음이 중국 매출입니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석유 화학 제품 수요 시장으로 LG 화학은 중국에 가장 많은 생산 법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 흰색 채운 동그라미) 중국의 경기 둔화에 영향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는 매출 구조입니다. 석유 화학 부문은 매출이 22년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입니다.
배당 성향
연도 | 주당 배당금(원) | 배당성향(%) |
2023 | 10000 | 42.90% |
2022 | 12000 | 51.50% |
2021 | 12000 | 49.30% |
2020 | 12000 | 48.20% |
2019 | 6000 | 25.00% |
2018 | 4000 | 17.60% |
2017 | 4000 | 17.50% |
2016 | 3000 | 13.90% |
2015 | 2000 | 9.40% |
2014 | 2000 | 10.00% |
2013 | 2000 | 10.70% |
2012 | 2000 | 11.20% |
지난 10년간 배당을 지속적으로 늘려왔으나 22년도 석유화학 경기 불황으로 배당을 줄였습니다. 최근 3년간의 배당 성향은 50% 수준입니다.
R&D 투자
연도 | 매출(조원) | R&D 투자(조원) |
매출 대비 R&D 투자 비율(%)
|
2023 | 60.2 | 2.04 | 3.40% |
2022 | 54.7 | 1.98 | 3.60% |
2021 | 49.2 | 1.88 | 3.80% |
2020 | 43.3 | 1.75 | 4.00% |
R&D 투자는 매출 대비 3~4% 수준으로 한국 화학 업계의 R&D 투자 비율 2.5%에 비해서 높은 수준입니다.
결론
매출 비중에서 배터리 사업 부문은 미국의 의존도가 높고 석유화학 부분은 중국의 의존도가 높습니다. 중국의 매출 하락은 미국의 매출 상승분으로 매꿔주는 추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 부분은 매출에 적은 비율이지만 매출이 증가세입니다. R&D 투자 부문과 배당 성향은 나쁘지 않고 향후 매출이 늘어나면 배당도 그에 따라 늘어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중국의 침체로 석유 부문에서 순이익이 감소하였으나 중국 경제가 살아나고 있고 양극재 공장 투자를 고려하면 폭발적인 매출 성장을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
*이 블로그가 제공하는 금융정보는 투자 참고사항이며,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게시된 정보는 무단으로 배포할 수 없습니다.
'투자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XX (아이세어즈 반도체 ETF) 분석/소개 (0) | 2023.09.23 |
---|---|
주식 분석에 도움이 되는 사이트 정리 (0) | 2023.09.23 |
초보 소액 부동산 투자 (0) | 2023.09.17 |
워런 버핏의 저렴한 주식 찾는 방법 (당신은 차트에 속고 있다) (0) | 2023.09.09 |
23년 부동산 사야 할까 팔아야 할까? (0) | 2023.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