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눈썹 연장풀의 주 성분은?
속눈썹 연장은 셀프용과 전문가용 두 가지로 나뉘어 있습니다. 만약 속눈썹 연장 시술을 받다가 눈이 따갑거나 눈물이 난다면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한국에서는 속눈썹 연장 풀은 일반 생활 화학 제품에 속한다. 화장품 분류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화장품에 서는 사용하지 않는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속눈썹 연장풀의 주 성분은 시아노아크릴레이트이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우리가 흔히 아는 순간 접착제의 주 성분입니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의 인체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피부: 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피부에 접촉하면 피부염, 화상, 궤양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피부 조직이 파괴되어 괴사 될 수 있습니다.
눈: 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눈에 접촉하면 눈물, 충혈, 가려움, 통증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시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호흡기: 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흡입하면 호흡곤란, 기침, 흉부 불편감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폐부종,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신체 전반: 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신체 전반에 영향을 미쳐 두통, 메스꺼움, 구토, 피로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알레르기 반응, 쇼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주 성분은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외에도 소비자원 조사 결과를 보면 주요 제품 20개 중 11개에서 폼알데하이드나 톨루엔이 검출되었습니다.
물질명 | 기준(㎎/㎏) | 검출 범위(㎎/㎏) | 부적합 제품 수 |
폼알데하이드 | 20 이하 | 14,800~43,600 | 11개 |
톨루엔 | 20 이하 | 38~8,290 | 9개* |
벤젠 | 100 이하 | 불검출 | - |
* 9개 제품은 폼알데하이드·톨루엔 중복 검출 |
*2017년도 한국 소비자원 검사 결과
폼알데하이드는 무색, 무취의 가스로, 접착제, 단열재, 합판, 페인트, 건축 자재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됩니다. 폼알데하이드는 눈에 자극을 줄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눈물, 충혈, 가려움, 통증, 시력 저하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폼알데하이드가 눈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눈물: 폼알데하이드는 눈물샘을 자극하여 눈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충혈: 폼알데하이드는 혈관을 확장시켜 눈을 충혈시킬 수 있습니다.
가려움: 폼알데하이드는 눈에 자극을 주어 가려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통증: 폼알데하이드는 눈을 자극하여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시력 저하: 폼알데하이드는 눈의 망막을 손상시켜 시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폼알데하이드에 노출된 경우 빠른 조치를 취하면 대부분의 증상이 회복됩니다. 그러나 심한 경우 시력 저하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톨루엔의 인체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신경계: 톨루엔은 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두통, 어지럼증, 메스꺼움, 구토, 피로, 주의력 저하, 기억력 장애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환각, 경련, 의식 상실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호흡기: 톨루엔은 호흡기에 영향을 미쳐 호흡곤란, 기침, 흉부 불편감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폐부종,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피부: 톨루엔은 피부에 접촉하면 피부염, 화상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눈: 톨루엔은 눈에 접촉하면 눈물, 충혈, 가려움, 통증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생식 독성: 톨루엔은 생식 독성이 있어 남성의 정자 수 감소, 여성의 생리 불순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발암성: 톨루엔은 발암성이 있어 장기 노출 시 혈액암, 림프종, 뇌종양 등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톨루엔에 노출된 경우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일반적으로 회복됩니다. 그러나 장기 노출 시 심각한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어떤 속눈썹 연장풀/접착제를 어떻게 제품을 써야하나?
소비자원과 환경부의 조사 이후 과거와는 달리 최근 제품에는 폼알데하이드나 톨루엔 등 안전 기준을 위반한 제품이 사라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주성분은 접착제인 화학 제품이므로 본인이 민감한 피부라면 손등이나 얼굴이 아닌 다른 피부에 사용해 보고 문제가 없는 경우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사용 중에 피부에 증상이 있는 경우 피부과 전문의 등에 상담을 받아 보아야 합니다.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레르기약 장기 복용해도 될까? 개발 역사와 종류 별 효과 부작용 (0) | 2023.10.06 |
---|---|
티스토리 네이버 검색 사이트 등록 (0) | 2023.09.28 |
신생아 특공 (공공 분양 신생아 특별공급), 임신/출산, housing support plan for pregnancy (0) | 2023.09.09 |
아이폰에서 윈도우에 사진 동기화하는 방법 (0) | 2023.08.05 |
한국 비자의 종류 (KOREA VISA Category) (0) | 2023.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