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약은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히스타민의 작용을 억제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하는 약입니다. 저는 가을이 되면 감기도 아닌데 콧물이 나거나 코가 가렵고 눈이 쉽게 충혈되기도 하는데요 그럴 때마다 알레르기약을 자주 복용합니다. 이번주에도 약국에서 3통 정도 한 번에 구입하였습니다. 이렇게 자주 먹어도 되는지 항상 궁금했었는데요. 알레르기 약은 누가 왜 만들었고 어떻게 증상을 완화하고 장기 복용 시 문제가 되지 않을지 알아보겠습니다.
알레르기 약 개발 역사
알레르기약은 1930년대 후반에 개발되었습니다. 1937년, 미국의 화학자 로널드 레이노어(Ronald Reyner)는 히스타민이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레이노어는 히스타민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시작했고, 1937년, 최초의 항히스타민제인 **디펜히드라민(diphenhydramine)**을 개발했습니다. 디펜히드라민은 알레르기 비염, 두드러기, 피부 가려움증 등의 증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940년대 이후, 다양한 종류의 항히스타민제가 개발되었습니다. 1944년, 미국의 화학자 찰스 리처드슨(Charles Richardson)은 2세대 항히스타민제인 **클로르페니라민(chlorpheniramine)**을 개발했습니다. 클로르페니라민은 졸음 등의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980년대 이후, 3세대 항히스타민제가 개발되었습니다. 3세대 항히스타민제는 졸음, 입마름 등의 부작용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알레르기약의 개발은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에 큰 발전을 가져왔습니다. 알레르기약은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알레르기약을 개발한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 로널드 레이노어 (Ronald Reyner) - 최초의 항히스타민제인 디펜히드라민을 개발함
* 찰스 리처드슨 (Charles Richardson) - 2세대 항히스타민제인 클로르페니라민을 개발함
* 앨런 리 (Alan Lee) - 3세대 항히스타민제인 아세틸세트일로페니라민을 개발함
* 아서 맥코넬 (Arthur McConnell) - 3세대 항히스타민제인 로라타딘을 개발함
알레르기약의 효과는?
* 재채기, 콧물, 눈 가려움증, 코막힘 등의 알레르기 비염 증상 완화
* 두드러기, 가려움증 등의 피부 알레르기 증상 완화
* 천식 증상 완화
알레르기약의 부작용은?
* 졸음
* 입마름
* 소화불량
* 두통
* 어지러움
* 구역질
* 설사
* 피로
* 불안
* 흥분
항히스타민제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진정, 졸음, 피로감, 기억력 감퇴, 집중장애 등의 중추신경계 부작용이다. 이러한 중추신경계 부작용은 항히스타민제 권장 용량에서도 흔하게 나타날 수 있으나 때로는 이러한
부작용이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기도 한다. 2 세대 항히스타민제는 1 세대에 비하여 진정
등의 중추신경계 부작용은 상대적으로 낮다. 항히스타민제의 중추신경계 부작용은 여성, 고령자, 작은 체구, 간과 신장기능 저하, 중추신경계 이상이 있는 경우에 더 흔하므로 투여 시 주의해야 한다. 항히스타민제는 심장 내의 칼륨 통로(potassium channel)를 차단하여 부정맥 등의 심장 독성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1 세대 항히스타민제 중 디펜히드라민, 히드록시진 등이 용량의존적으로 심장 독성을 나타내며, 국내에서는 디펜히드라민 과량 복용에 의한 심실 부정맥이 보고된 적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알레르기약 세대별 장점과 단점
1세대 : 디펜히드라민, 클로르페니라민, 프로메타진, 디프렌하이드로메타진 등
2세대 : 세티리진, 로라타딘, 펙소페나딘, 에바스틴, 로바스타틴 등
3세대 : 펙소페나딘, 로라타딘, 아세틸세트일로페니라민, 비졸타민 등
세대 | 장점 | 단점 | 활용 |
1세대 | 효과가 빠르고, 가격이 저렴함 | 졸음, 입마름, 소화불량 등의 부작용이 많음 | 알레르기 비염, 두드러기, 피부 가려움증 등의 증상 완화 |
2세대 | 졸음, 입마름 등의 부작용이 적음 | 효과가 1세대 항히스타민제보다 느림 | 알레르기 비염, 두드러기, 피부 가려움증 등의 증상 완화 |
3세대 | 졸음, 입마름 등의 부작용이 가장 적음 | 가격이 1세대, 2세대 항히스타민제보다 비쌈 | 알레르기 비염, 두드러기, 피부 가려움증 등의 증상 완화 |
*이 표는 일반적인 항히스타민제의 특징을 요약한 것입니다. 약의 종류와 용량에 따라 부작용의 정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의사나 약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알레르기약 장기 복용하는 경우?
항히스타민제 장기 복용 시 안전성 항히스타민제는 알레르기성 질환이나 상기도 감염 등 여러 증상에 빈번하고 다양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항히스타민제 장기 복용 시 약물의 내성이나 중독성에 대해 우려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대부분의 2세대 항히스타민제의 경우 장기 복용 시 내성이나 중독성은 나타나지 않으나 복용 중단 후에도 3~4일 정도 약효가 유지되기도 한다. 1세대 항히스타민제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약은 항상 효과와 부작용이 있는 만큼 장기 복용하는 경우 약사나 의사등 전문가에게 문의를 하는게 좋다! 가 결론입니다. 구매 시 항상 물어봐야 하겠네요~!
*그 외에 부작용에 관한 상세한 정보는 제품설명서 또는 제품별 허가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부작용이 발생하면 의사, 약사 등 전문가에게 알려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정보 참조 :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눈썹 연장술 연장풀 접착제 유의 사항 부작용 (0) | 2023.10.12 |
---|---|
티스토리 네이버 검색 사이트 등록 (0) | 2023.09.28 |
신생아 특공 (공공 분양 신생아 특별공급), 임신/출산, housing support plan for pregnancy (0) | 2023.09.09 |
아이폰에서 윈도우에 사진 동기화하는 방법 (0) | 2023.08.05 |
한국 비자의 종류 (KOREA VISA Category) (0) | 2023.06.25 |